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13

노루귀

조회 수 658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루귀

입춘에 우수까지 지나니 방송이나 잡지에서 봄을 알리는 들꽃 사진을 많이 보여준다. 산과 들에 사진 찍으러 가도 실제로는 찾기 어렵다고 하는데, 눈속에서도 피어 있는 풀꽃을 찾아내고는 강한 생명력을 느끼고서 그 새롭고 소중함을 전하는 듯하다. 산수유·매화·개나리·진달래·벚꽃이 차례로 온 나라를 덮기 전에 봄의 전령으로 수줍게 피는 바람꽃·복수초·현호색·노루귀·제비꽃 …. 이 가운데 노루귀는 신문·방송에서도 여러 번 보았다.

노루가 예전에는 아주 친근한 동물이어서 그런지, 땅이름·연장이름·속담들에도 자주 등장한다. 풀꽃이름에는 더 흔하다.

‘노루귀’는 노루귀 모양의 잎 뒷면에 털이 보송보송 길게 덮은 모습이 노루귀와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조금 작은 노루귀는 ‘새끼노루귀’라 부른다.

‘노루발’은 잎맥 모양이나 하얀 눈 위에 나 있는 모습이 노루 발자국처럼 보인다 하여 붙은 이름인데, 작은 품종은 ‘새끼노루발’이다. ‘노루삼’은 홍갈색 수염뿌리가 나고 약효가 많은 까닭에, ‘노루오줌’은 노루가 물 마시고 오줌 누는 물가에 많고, 노루오줌 냄새가 난대서 붙은 이름이다. ‘노루참나물’은 참나물과 비슷하나 전체에 털이 나서, ‘노루궁뎅이버섯’(노루꼬댕이버섯)은 노루꼬리 모양의 털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노루귀든 노루궁뎅이든 지금은 잘 볼 수 없으니, 노루가 뛰놀고 노루귀가 피었던 산골의 봄을 머릿속으로나 상상해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노루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05
326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49
3259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251
3258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51
3257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52
3256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53
3255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56
3254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57
3253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58
325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60
3251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62
3250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64
324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65
3248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65
3247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66
3246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67
324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68
3244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69
3243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69
3242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69
324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71
324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72
3239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