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8:43

올림과 드림

조회 수 750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림과 드림

요즘은 전화와 문자메시지 같은 전자말에 밀려서 글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빼앗기는 판세다. 하지만 알뜰한 사실이나 간절한 마음이나 깊은 사연을 주고받으려면 아직도 글말 편지를 쓰지 않을 수가 없다. 글말 편지라 했으나 종이에 쓰고 봉투에 넣어서 우체국 신세까지 져야 하는 진짜 글말 편지는 갈수록 밀려나고, 컴퓨터로 써서 누리그물(인터넷)에 올리면 곧장 받을 수 있는 전자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넓히고 있다. 이들 진짜 글말 편지든 전자말 편지든 이제 편지를 쓰면 너나없이 ‘올림’과 ‘드림’을 자주 쓴다. 올림은 받는 사람이 높은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고, 드림은 주는 것이 보잘것없어서 낮은 곳에 아무렇게나 슬쩍 들여놓는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받는 사람을 높이고 주는 이를 낮추는 뜻은 다를 바가 없지만 마음을 두는 곳이 서로 조금씩은 다른 셈이다.

글말 편지의 봉투 겉에 보내는 사람을 흔히 ‘아무개 올림’ 또는 ‘아무개 드림’이라 쓰고 봉투 속에 담긴 편지글 끝에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쓴다. 봉투 겉에 쓰는 것은 봉투 속에 든 글을 하나의 물품으로 보고 그것을 올리거나 드리거나 한다는 뜻으로 쓰는 것이라 좋지만, 봉투 속에 든 글은 바로 말씀을 올리거나 드리는 것이므로 사정이 다르다. 말씀을 올리거나 드릴 적에 쓰는 우리말이라면 ‘사룀’과 ‘아룀’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사뢰는 것은 속살과 속내를 풀어서 말씀드리는 것이고, 아뢰는 것은 모르시는 것을 알려 드리려고 말씀드리는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25
3282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71
3281 '-시키다’ 風文 2023.12.22 1271
328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73
327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73
3278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73
3277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75
3276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75
327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79
327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9
3273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279
327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280
3271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80
3270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85
3269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285
3268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86
3267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86
326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87
3265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87
3264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88
3263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88
3262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89
3261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