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11

별내와 비달홀

조회 수 875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별내와 비달홀

뜻이 같은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합친 말이 많다. ‘역전앞’이나 ‘처가집’이 대표적인 경우다. 언어학자들은 같은 뜻을 합쳐 이룬 낱말은 말의 경제적인 차원에서 불합리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역전’이나 ‘처가’로 써야 바른 표현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자말과 토박이말의 합성어가 전혀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족발’은 ‘족’(足)이나 ‘발’만으로는 뜻을 전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비록 ‘족’과 ‘발’이 같은 뜻일지라도 두 말이 합치어 새로운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말 가운데는 ‘별’과 ‘낭’이 그런 보기에 해당한다. 전남 승주군에 있었던 ‘별량(별애)부곡’이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압록수 이북의 미수복 지역’ 땅이름인 ‘비달홀’(비탈골)에 들어 있는 ‘별애’와 ‘비탈’은 비스듬한 모양의 지형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우리 옛말에는 ‘별’과 ‘낭’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의 말이었다. <동국신속 삼강행실도>의 “ㅈ.식을 업고 낭의 떨어져 죽으니라”라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낭’은 ‘절벽’을 뜻하며, <동동>의 “6월 보름에 별헤 ㅂ.룐 빗 다호라”에 나오는 ‘별’은 절벽보다는 덜 가파른 비스듬한 지역을 나타낸다. 이 두 말이 합쳐서 ‘벼랑’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특히 ‘별’은 물을 뜻하는 ‘내’나 ‘고개’를 뜻하는 ‘재’와 어울려 땅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깅기 남양주의 ‘별내’나 강원 통천의 ‘별재’는 이런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10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52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470
    read more
  4.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294
    Read More
  5.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517
    Read More
  6.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476
    Read More
  7.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555
    Read More
  8. 마개와 뚜껑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8219
    Read More
  9. 가닥덕대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374
    Read More
  10. 라틴말의 후예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6910
    Read More
  11. 물과 땅이름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8000
    Read More
  12. 뚱딴지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109
    Read More
  13. 괴다와 사랑하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9743
    Read More
  14. 아프리카의 언어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900
    Read More
  1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027
    Read More
  16. 올림과 드림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466
    Read More
  17. 무릎노리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48
    Read More
  18. 아랍말과 히브리말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427
    Read More
  19. 별내와 비달홀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51
    Read More
  20. 으악새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9824
    Read More
  21. 까닭과 때문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6934
    Read More
  22. 아시저녁·아시잠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7505
    Read More
  23. 중앙아시아 언어들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238
    Read More
  24. 한뫼-노고산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10288
    Read More
  25. 개불알꽃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18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