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9 15:46

날래다와 빠르다

조회 수 741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래다와 빠르다

그림씨(형용사) 낱말은 본디 느낌을 드러내는 것이라 뜻을 두부모 자르듯이 가려내기가 어렵다. 게다가 이런 그림씨 낱말은 뜻 덩이로 이루어진 한자말이 잡아먹을 수가 없어서 푸짐하게 살아남아 있는데, 우리는 지난 세기 백 년 동안 소용돌이치는 세상을 살아오면서 선조들이 물려준 이런 토박이말을 제대로 건사하지 못했다. 그래서 뒤죽박죽 헷갈려 쓰는 바람에 힘센 낱말이 힘 여린 낱말을 밀어내고 혼자 판을 치게 되고, 그러니 고요히 저만의 뜻과 느낌을 지니고 살아가던 낱말들이 터전을 빼앗기고 적잖이 밀려났다. ‘날래다’와 ‘이르다’도 육이오 즈음부터 ‘빠르다’에 밀려서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가는 낱말들이다. 우리네 정신의 삶터가 그만큼 비좁아지는 것이다.

‘빠르다’는 그냥 시간의 흐름에 쓰는 말이고, ‘날래다’는 움직임에 걸리는 시간의 흐름에 쓰는 말이고, ‘이르다’는 잣대를 그어놓고 시간의 흐름에 쓰는 말이다. ‘빠르다’는 ‘더디다’와 마주 짝을 이루어 시간이 흐르는 속도를 가려서 쓰고, ‘날래다’는 ‘굼뜨다’와 마주 짝을 이루어 움직임에 걸리는 시간의 짧기와 길기를 가려서 쓰고, ‘이르다’는 ‘늦다’와 마주 짝을 이루어 잣대로 그어놓은 시간의 흐름에서 먼저인가 다음인가를 가려서 썼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빠르다’가 움직임에 걸리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날래다’의 터전으로 슬슬 밀고 들어오면서 ‘느리다’를 짝으로 삼아 ‘굼뜨다’까지 밀어내며 들어왔다. 요즘은 이들 짝이 ‘이르다’와 ‘늦다’의 터전으로도 밀고 들어온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90
3282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93
3281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94
328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94
3279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95
3278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96
3277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96
3276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97
3275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98
3274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00
3273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01
3272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04
3271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5
3270 '-시키다’ 風文 2023.12.22 1305
3269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06
3268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07
3267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07
3266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08
3265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08
3264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12
326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3
326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313
3261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