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4:54

깍지다리

조회 수 711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지다리

‘깍지다리’는 보통 의자에 앉아서 한 다리를 다른 다리 위에 포개어 앉은 자세를 일컫는다.“

최창락이 의자에 깍지다리를 하고 앉아 권연(=궐련)을 피우고 있었다.”(장편소설, <청년전위> 1)

남녘에서는 이 자세를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 혹은 ‘다리를 포개고 앉은 자세’로 표현한다. 한 낱말로는 ‘꼰다리’, ‘포갠다리’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손가락을 깍지 낀 것처럼 다리를 깍지 끼었다고 보아서 ‘깍지다리’라고 표현하는 것도 괜찮겠다.

‘깍지’는 ‘활을 쏠 때 손가락에 끼는 기구’다. ‘깍지(를) 끼다’는 ‘깍지를 손가락에 끼다’와 ‘손가락을 엇갈리게 맞잡다’의 두 가지 의미로 쓰이다가 ‘손가락을 엇갈리게 맞잡다’는 의미가 일반화되었다. ‘깍지(를) 끼다’를 북녘에서는 ‘깍지다’로도 쓴다.

“씨름판에서 동수는 학철의 뒤잔등을 량팔로 걷어안자 두손을 깍지고서는 힘껏 그러안으며 안걸이를 써서 넘어뜨렸다.”

앉은 자세를 이르는 말은 주로 ‘다리’로 끝난다. ‘평다리’는 ‘바닥에 다리를 쭉 펴고 앉은 자세’다. ‘엄마다리, 누나다리’는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고 두 다리를 한쪽으로 가지런히 포개어 비스듬히 앉은 자세’다. ‘책상다리’는 ‘양반다리, 아빠다리’와 같은 뜻으로 ‘앉은뱅이책상’을 쓸 때 주로 하는 자세여서 붙은 이름이다. 일부 남쪽 국어사전에서는 ‘깍짓다리’로 올렸다. 북녘에서는 책상다리를 ‘올방자’라고 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02
33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263
33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16
3302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91
3301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43
3300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190
329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06
3298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453
3297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40
3296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34
3295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18
329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00
3293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39
329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767
329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00
3290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66
3289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921
3288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655
3287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28
3286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7885
3285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63
3284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38
3283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