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6 12:40

자욱길

조회 수 1161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욱길

늦여름 윗대 어른들 뫼터 벌초를 할 때 사람 발길이 드문 산길을 오르다 보면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적잖다. 사람이 다니지 않아 웃자란 풀이 길을 가려 버린 까닭이다. 이런 길이 ‘자욱길’이다.

“나뭇군의 자욱길을 좇아서 산을 타고 골을 넘어 나가다가 나중에 길을 잃고서 헤매는 중에 해가 저물었다.”(홍명희, <임꺽정>)

자욱은 ‘발자국’의 ‘자국’과 같은 말이다. 자욱길은 표준어 규정을 따른다면 ‘자국길’이라 할 수 있겠다. 발자욱과 발자국은 근대 국어에서 모두 쓰이던 말인데, 1957년 발행된 한글학회 <큰사전>에서 ‘자욱, 발자욱’을 비표준어로 처리한 뒤, 지금은 남과 북의 차이로 벌어졌다. ‘자욱, 발자욱’을 남녘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녘에서는 ‘자국, 발자국’의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녘에서 ‘자욱, 발자욱’을 수용한 것은 아마도 현실적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도 ‘발자욱’은 현실에서 ‘발자국’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이 점에서 ‘자욱’과 ‘발자욱’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욱, 자국과 관련이 있는 낱말로 ‘자국걸음, 자국눈, 자국물, 자욱포수’ 등이 있다. 자국걸음은 ‘조심스럽게 디디는 걸음’, 자국눈은 ‘발자국이 겨우 생길 만큼 조금 내린 눈’, 자국물은 ‘발자국에 괸 물’이나 ‘아주 적은 물’, 자욱포수는 ‘동물의 발자국을 잘 쫓는 포수’를 일컫는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722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76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6696 

    안시성과 아골관

  5.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488226 

    말차례

  6.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8301 

    부리다와 시키다

  7.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6328 

    달맞이꽃

  8.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7528 

    태백산과 아사달

  9.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8875 

    인사말

  10.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379 

    소젖

  11.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728 

    너도밤나무

  12.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11144 

    황새울과 큰새

  13.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10283 

    사촌

  14.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9185 

    이마귀

  15.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8112 

    차례와 뜨레

  16.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7315 

    개양귀비

  17.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7607 

    듬실과 버드실

  18.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11325 

    형제자매

  19.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11610 

    자욱길

  20.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8254 

    뽑다와 캐다

  21.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8897 

    개차산과 죽산

  22.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9214 

    달개비

  23.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8039 

    삼촌

  24.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7075 

    깍지다리

  25.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6912 

    말꽃과 삶꽃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