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8

서울

조회 수 639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


서울은 예부터 수도를 상징하는 토박이말이다. 게다가 서울이라는 땅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는 매우 다의적이다. ‘그 나라의 서울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다면, 그때의 서울은 ‘수도’를 뜻하는 말이며, ‘서울 600년사’라는 말에서는 한국의 수도인 ‘서울’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이라는 말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 말은 본디 ‘서라벌’(徐羅伐), ‘서벌’(徐伐)과 같이 정치나 행정의 중심지역을 뜻하는 말이었다. 특히 서라벌과 서벌은 ‘동쪽’을 뜻하는 ‘새’( )에 ‘마을’이나 ‘성’을 뜻하는 ‘벌’이 합쳐진 말로, 신라의 서울이었던 경주의 옛이름이었다. 그러기에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향가’의 옛이름 가운데 하나인 ‘사뇌가’를 ‘동방의 노래’라 풀었던 것이다.

옛말 가운데 ‘서울’과 관련된 지명은 백제에도 있다. 백제의 서울인 ‘부여’의 옛이름이 ‘소부리’(所夫里)다. ‘서라벌’이나 ‘소부리’는 같은 뜻을 지닌 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마을을 뜻하는 말로 신라에서는 ‘화’(火: 불)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고, 고구려에서는 ‘홀’(忽)을 붙이는 사례가 많았는데, 백제는 ‘부리’(夫里)를 붙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 백제의 수도인 ‘소부리’는 모두 ‘서울’에 해당하는 옛말이었음이 증명된다.

중국에서는 서울을 소리가 비슷한 ‘서우얼’(首爾)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얼마나 정착될지 궁금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15
332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077
3325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77
332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078
3323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079
3322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079
3321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083
332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085
331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085
3318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091
3317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092
3316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092
3315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094
3314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096
3313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097
3312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098
3311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099
3310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099
3309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100
3308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05
3307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105
330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107
3305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