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61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17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49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27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23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76
»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15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68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04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44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61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29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42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90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79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34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54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70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74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70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89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65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77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