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47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24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42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798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09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099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195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40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85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37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66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22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95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28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31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55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53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42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19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69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00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16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28
»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