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7

고구마

조회 수 870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구마

쌀·보리 같은 곡물 대신 감자와 함께 흔히 먹는 식물에 고구마가 있다. 대체로 ‘고구마’로 부르지만 경남에서는 ‘고매’라 일컫고, 전남에서는 ‘감자’, 제주에서는 ‘감저’라고도 한다. 겨울에는 물기가 많은 ‘물고구마’가 좋고, 여름에는 밤처럼 포슬포슬한 ‘밤고구마’를 즐겨 찾는다. 군고구마·찐고구마도 있고, 쌀이 모자라던 전날엔 술을 담가 먹기도 했다.

고구마는 잎이 자라면 어린잎을 따 먹는데 이를 ‘고구맛순/고구마 순’이라 한다. 조금 더 자라서 줄기(덩굴·넝쿨)를 뻗으면 이를 ‘고구마 줄기’라 하는데, 실제로는 ‘잎자로’로서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 줄기/쭐기, 고구마 줄거리/쭐거리’라 부른다.

경기도에서는 ‘고구마 줄기,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을 일반적으로 쓰고, 경상 방언에서는 ‘줄기’를 ‘쭐기·줄거리·쭐거리·쭐그리·쭐겡이’로 쓴다. 충북에서도 ‘줄기·줄거리·쭐거리’로 발음한다. 전남과 충남에서는 ‘감자 순/감잣순, 감자 줄기, 감자 줄거리, 감자 대/감잣대’로 쓴다. 제주에서는 ‘감젓줄·감저꿀·감저뗑가리’ 등을 쓴다. 전북에서는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고구맛순, 고구마 대/고구맛대’라고 일컫는데 특히 ‘고구맛순’과 ‘고구맛대’를 많이 쓴다. 고구마 잎자루를 따서 잎을 버리고 그 대를 먹는 까닭에 ‘고구맛대’로 부르는 것 같다. 표준어로는 ‘고구마 줄기’라 부르면 되지만,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의 어린잎과 줄기를 부르는 이름과 그것을 식용으로 하면서 부르는 이름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71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56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06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30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16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20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56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93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52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82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25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96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38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46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63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72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75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26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81
»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09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26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59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