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2

언어 보존

조회 수 717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보존

사라져가는 말을 보존한다는 것은 이들 말을 되살려 직접 쓰도록 하거나, 적어도 문서나 음성·영상으로 기록하여 오래도록 남기는 일이다. 이들을 보존해야 하는 까닭은 뭔가?

문화인류학적 이유가 있다. 말에는 이를 쓰는 민족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접촉한 자연·사회 환경과 관련한 숱한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니 다양한 언어의 보존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갈무리하는 일이다. 북극의 이누이트족은 최악의 기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이를 자신들의 ‘이누이트말’에 반영하여 얼음과 눈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발달시켰다. 아메리카 대륙의 ‘미크맥말’은 가을에 부는 바람소리에 따라 나무에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70년 전과 다른 이름이 지금 붙여져 있다면, 이 나무 이름을 통해 그 사이에 벌어진 자연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언어학적 이유도 있다. 개별 언어가 지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보존할 수 있다. 인디언말 가운데 ‘체로키말’에는 씻는 행위에서 무려 14가지 어형이 있으며, ‘디르발말’에는 뱀장어를 가리키는 수십 가지 명칭이 있다. 언어를 지킴으로써 인류는 이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한 개, 두 마리, 세 포기’의 ‘개, 마리, 포기’와 같은 세는 단위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폰페이말’에는 보통 음식과 잔치 때 자기 몫으로 받은 음식을 세는 단위가 다를 정도로 문법이 분화돼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면 결국 이런 낱말과 문법의 다양성과 섬세함을 동시에 잃고 마는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33
48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105
47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00
4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097
4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094
44 내색 風文 2023.11.24 1078
43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073
42 뒷담화 風文 2020.05.03 1067
41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058
4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57
39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054
38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1049
37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042
36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026
35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025
34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011
33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008
32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1008
31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998
30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94
29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988
28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935
27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9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