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2

언어 보존

조회 수 741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보존

사라져가는 말을 보존한다는 것은 이들 말을 되살려 직접 쓰도록 하거나, 적어도 문서나 음성·영상으로 기록하여 오래도록 남기는 일이다. 이들을 보존해야 하는 까닭은 뭔가?

문화인류학적 이유가 있다. 말에는 이를 쓰는 민족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접촉한 자연·사회 환경과 관련한 숱한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니 다양한 언어의 보존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갈무리하는 일이다. 북극의 이누이트족은 최악의 기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이를 자신들의 ‘이누이트말’에 반영하여 얼음과 눈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발달시켰다. 아메리카 대륙의 ‘미크맥말’은 가을에 부는 바람소리에 따라 나무에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70년 전과 다른 이름이 지금 붙여져 있다면, 이 나무 이름을 통해 그 사이에 벌어진 자연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언어학적 이유도 있다. 개별 언어가 지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보존할 수 있다. 인디언말 가운데 ‘체로키말’에는 씻는 행위에서 무려 14가지 어형이 있으며, ‘디르발말’에는 뱀장어를 가리키는 수십 가지 명칭이 있다. 언어를 지킴으로써 인류는 이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한 개, 두 마리, 세 포기’의 ‘개, 마리, 포기’와 같은 세는 단위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폰페이말’에는 보통 음식과 잔치 때 자기 몫으로 받은 음식을 세는 단위가 다를 정도로 문법이 분화돼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면 결국 이런 낱말과 문법의 다양성과 섬세함을 동시에 잃고 마는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8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55
48 상석 風文 2023.12.05 1547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754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877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698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524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628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397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730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927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857
38 ‘~스런’ 風文 2023.12.29 1887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725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555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829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757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47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596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619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908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817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806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7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