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2 09:07

외국어와 새말

조회 수 1015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국어와 새말

새말이 만들어지는 환경은 한마디로 사회 변화에서 비롯된다. 최근 들어 바깥나라와 사람들이 자주 오가고 방송·인터넷의 발달로 여러 나라와 문화권 사이에 소통이 잦아졌다. 외국어를 익히고 쓰는 인구도 부쩍 늘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 외국어에서 비롯된 새말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남은 생애를 관리해 주는 사람을 일컫는 ‘데스 코디네이터, 데스 컨설턴트’나 졸업한 뒤에도 직장을 구하거나 독립하지 않고 부모에게 의지하면서 사는 젊은이들을 이르는 ‘트윅스터’(twixster)와 같이 외국에서 쓰는 말을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트윅스터’는 그저 ‘어중이’ 정도에 해당한다. 한때 ‘웰빙’(참살이)이 유행하더니 ‘웰다잉, 웰엔딩’까지 쓰고 있는 것을 보는데, ‘데스 코디네이터’라면 이런 말들과 관련된 새 직종 명칭에 든다.

외국어와 우리말을 합쳐 말을 만드는 때도 있다. 쌀시장이 개방되면서 원산지, 생산 연도, 품종, 무게 등을 거짓으로 표시한 양곡 유통업자를 신고하여 보상금을 타 내는 ‘쌀파라치’(쌀+paparazzi)가 그런 보기다. 갈수록 외국어를 그대로 들여다 쓰는 것에 대한 감각이 무디어지고 있다. 음식점에서 완성된 음식을 구입하여 밖으로 가지고 나가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길먹거리’와 같이 순우리말로 된 새말들이 대접받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422
3436 “산따” “고기떡” “왈렌끼” 風文 2024.05.31 26
3435 “사겨라” “바꼈어요” 風文 2024.05.31 30
3434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風文 2024.05.29 53
3433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82
3432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482
343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532
3430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551
3429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615
3428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57
3427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686
3426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09
3425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717
3424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19
3423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31
342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36
3421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47
342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53
3419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54
3418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790
3417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792
3416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817
341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