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7 01:04

청소년의 새말

조회 수 1116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소년의 새말

20여 년 전만 해도 유행어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주로 대학생들이었다. ‘바보’(바라볼수록 보고 싶은 사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덩어리) 등의 재미있는 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유행했다.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이들이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유로는, 크게 시간 제약, 공간 제약, 집단의식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빨리 글을 쓰려고 이어 적고(머시따), 줄여 적고(셤), 단어나 음절을 숫자로 대신한다(쪽8리다). 짧은 글에 감정을 나타내고자 자음·모음 등을 교체하고(그리구), 문장부호를 겹쳐 쓰며(!!!), 그림말을 사용한다(^^;). 이런 말들은 또래끼리 소통하는 곁말(은어)로 자리잡았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가 다른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새말이 문제가 되는 것은 소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하고, 기성세대는 이들과 대화할 여유가 없으므로 세대 단절이 깊어진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새말 만들기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발한 새말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무조건 쓰지 말라고 청소년들을 다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 공간, 공적인 장소, 어른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바른 말을 쓸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르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62
343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48
3433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083
3432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578
3431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31
3430 요, 오 風磬 2006.09.09 20283
3429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67
342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194
3427 겻불 風磬 2006.09.14 16080
342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175
3425 게거품 風磬 2006.09.14 19552
3424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94
3423 고뿔 風磬 2006.09.16 15548
342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48
3421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67
3420 곤죽 風磬 2006.09.29 12390
3419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495
34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38
3417 꼬투리 風磬 2006.10.10 13680
3416 나리 風磬 2006.10.10 16937
3415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