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282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58
343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48
3433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083
3432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578
3431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28
3430 요, 오 風磬 2006.09.09 20283
3429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61
342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191
3427 겻불 風磬 2006.09.14 16076
342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170
3425 게거품 風磬 2006.09.14 19552
3424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92
3423 고뿔 風磬 2006.09.16 15548
342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46
3421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67
3420 곤죽 風磬 2006.09.29 12390
3419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493
34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38
3417 꼬투리 風磬 2006.10.10 13673
3416 나리 風磬 2006.10.10 16937
3415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