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마르고 닳도록 입고 다니던 청바지가 버스에 앉는데 찍 하고 찢어졌다. 천을 덧대어 오버로크해서 버텼으나, 오래 못 가 뒷무릎까지 찢어졌다. 아깝더라도 버릴 수밖에.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김수영)지만, 언젠가는 버려야 할 때가 온다. 한글 자음 이름도 그렇다. 한글 창제 후 백년쯤 지나 최세진은 어린이용 한자학습서 ‘훈몽자회’를 쓴다. ‘天’이란 한자에 ‘하늘 천’이라고 적어두면 자습하기 편하겠다 싶었다. 명민한 최세진은 이름만 배워도 그것이 첫소리와 끝소리에서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 알 수 있게 만들었다. ‘리을, 비읍’처럼 ‘이으’의 앞뒤에 ㄹ, ㅂ을 붙이면 첫소리와 끝소리를 연습할 수 있겠다. 그래서 ‘ㄹ’ 이름을 梨乙(리을), ‘ㅂ’ 이름을 非邑(비읍)이라고 지었다. 기발하고 참신하다.

그런데 처음부터 문제였다. ‘ㄱ’도 기윽이라 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윽’이라는 한자가 없다. 하는 수 없이 발음이 비슷한 役(역)을 써서 其役(기역)이라 했다.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인 게 ㄱ, ㄷ, ㅅ 3개다. ‘ㄷ’도 디읃으로 하고 싶지만, ‘읃’이란 한자가 있을 리 없지. 末(말)이란 한자에 동그라미를 치고 이건 뜻으로 읽으라고 해 놓았다. 옛 발음으로 ‘귿 말’이니, ‘디귿’ 되겠다. ‘ㅅ’도 時衣(시의)라 쓰고, 衣(의)에 동그라미를 쳤다. ‘옷 의’이니 시옷.

궁여지책이었다. 왜 ‘기역, 디귿, 시옷’인지 설명해 주는 선생도 드물었다. 외국인에게 가르칠 때도 이름은 슬쩍 넘어간다(그거 알려주다간 날 샌다). 남북이 함께 만드는 ‘겨레말큰사전’에는 ‘기윽, 디읃, 시읏’으로 통일했다. 어린이나 외국인에게 가르치기도 편하다. 바꿀 땐 바꿔야 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23
3392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30
3391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54
3390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64
3389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592
3388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406
3387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33
3386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060
3385 뜻뜨미지근하다 / 뜨듯미지근하다 바람의종 2010.11.11 22059
3384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13
3383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831
3382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569
3381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387
3380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345
3379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270
3378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270
3377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15
337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070
3375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021
3374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바람의종 2010.04.26 20985
3373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23
3372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바람의종 2012.08.23 20913
3371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7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