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01 06:46

‘괴담’ 되돌려주기

조회 수 14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괴담’ 되돌려주기

이상야릇한 이야기. 비슷한 말로 ‘유언비어’, ‘뜬소문’, ‘가짜뉴스’, ‘허위사실’이 있다. ‘괴담’은 언제나 있었다. 1914년 8월1일 매일신보엔 ‘경성의 도깨비 이것 무엇인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는데, 그 한 대목을 읽어볼작시면 이렇더라. “매일 밤 열한시나 자정이면 광희문 밖 정류장에 어떤 젊은 여성 하나가 괴이한 행동으로 차에 올라탔다가 차장이 돈을 받으려고 하면 갑자기 사라진다고 한다. 그는 서양식 여학생 복장을 하고 있고 늘 청량교 정류장에 내렸다. 하루도 빠짐없이 광희문 밖에서 타고 청량교에서 내리는 일이 하도 괴이하여 차장들 사이에서 도깨비장난이라는 말이 낭자하다.”(신출귀몰하는 상습 무임승차자였나 보군.)

시인 김지하는 1972년 ‘창조’ 4월호에 ‘비어’(蜚語)(맥주, 아니다)를 발표한다. “지치고 처지고 주리고 병들고 미쳐서 어느 날 노을 진 저녁때 두 발을 땅에다 털퍼덕 딛고서 눈깔이 뒤집혀 한다는 소리가 ‘에잇 개같은 세상!’ 이 소리가 입 밖에 떨어지기가 무섭게 철커덕 쇠고랑이 안도(安道)놈 두 손에 대번에 채워지고 질질질 끌려서 곧장 재판소로 가는구나. 땅땅땅― 무슨 죄던고? 두 발로 땅을 딛고 아가리로 유언비어를 뱉어낸 죄올시다. 호호 큰 죄로다.”(시인은 체포된다. 박정희는 ‘유언비어를 날조, 유포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는 긴급조치를 내린다.)

항간에 떠도는 괴담이 있다. “녹아내린 핵연료와 뒤섞인 물을 바다에 아무리 갖다버려도, 어머니 품처럼 넓디넓은 바다는 모든 걸 정화해 주니 아무 문제가 없다.”

괴담은 불안과 불만에서 나온다. 어두운 골목에서 피어오른다. 그런데 요즘엔 권력자와 엘리트들의 입에서 나온다. 그들은 무엇이 불안하고 무엇에 불만인 걸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51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03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104
    read more
  4. ‘강한 바람’만인가?

    Date2007.10.27 By바람의종 Views6989
    Read More
  5. ‘개덥다’고?

    Date2023.11.24 By風文 Views1323
    Read More
  6.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Date2024.01.09 By風文 Views1339
    Read More
  7.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Date2023.10.13 By風文 Views1384
    Read More
  9. ‘경우’ 덜쓰기/최인호

    Date2007.04.25 By바람의종 Views6900
    Read More
  10. ‘고마미지’와 ‘강진’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8050
    Read More
  11. ‘곧은밸’과 ‘면비교육’

    Date2010.04.26 By바람의종 Views10230
    Read More
  12. ‘괴담’ 되돌려주기

    Date2023.11.01 By風文 Views1421
    Read More
  13. ‘그러지 좀 마라’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7741
    Read More
  14. ‘기쁘다’와 ‘즐겁다’

    Date2007.09.29 By바람의종 Views12162
    Read More
  15. ‘긴장’과 ‘비난수’

    Date2010.03.30 By바람의종 Views17869
    Read More
  16. ‘김치’와 ‘지’

    Date2007.09.22 By바람의종 Views6856
    Read More
  17. ‘꾹돈’과 ‘모대기다’

    Date2010.05.09 By바람의종 Views13446
    Read More
  18. ‘끄물끄물’ ‘꾸물꾸물’

    Date2024.02.21 By風文 Views1237
    Read More
  1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Date2022.07.07 By風文 Views1247
    Read More
  20.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997
    Read More
  21. ‘넓다´와 ‘밟다´의 발음

    Date2010.08.15 By바람의종 Views22643
    Read More
  22.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142
    Read More
  2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Date2010.05.31 By바람의종 Views10729
    Read More
  24. ‘당신의 무관심이 …’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6488
    Read More
  25. ‘대틀’과 ‘손세’

    Date2010.05.28 By바람의종 Views1366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