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6.06 13:57

이 자리를 빌려

조회 수 14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 자리를 빌려

‘이 자리를 00 감사를 드립니다’라고 할 때 ‘빌어’가 맞나요? ‘빌려’가 맞나요? 엊그제 어느 직장인으로부터 문의 전화를 받았다. ‘빌려’로 쓰는 게 맞다고 답했더니 “저도 그런 줄 알고 있는데, 사장님이 자꾸 ‘빌어’로 써야 한다고 하시네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떤 사정일지 짐작이 간다. 아마도 사장님은 적어도 50세는 넘으신, 연세가 지긋한 분이실 게다. 1988년에 표준어 규정의 개정으로 이 표현은 ‘빌어’에서 ‘빌려’로 바뀌었다.

‘빌리다’는 남의 돈이나 물건을 나중에 돌려주기로 하고 얼마 동안 가져다 쓰는 일을 뜻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빌려오기도 하고 남에게 빌려줄 수도 있다. 1988년 이전에는 빌려오는 것은 ‘빌다’로, 빌려주는 것은 ‘빌리다’로 구분해서 쓰도록 하였다. 즉 ‘친구가 나에게 책을 빌렸다’는 친구가 내 책을 빌려갔다는 뜻이고, 내가 빌렸을 때는 ‘친구에게 책을 빌었다’ 또는 ‘빌어왔다’라고 표현해야 했다. 그러나 차차 이 둘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빌려가다, 빌려오다, 빌려주다’로 구분해서 사용함에 따라 ‘빌다’와 ‘빌리다’의 구분을 없애고 모두 ‘빌리다’로 쓰도록 했다. 그러니까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드립니다’로 쓰면 된다.

다만 ‘빌려오다’의 의미로 ‘빌다’를 더 이상 쓰지 않는 사람들 중에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립니다’라는 말은 굳어진 표현으로 강하게 인식하고 있어 ‘빌어’가 맞는 것으로 종종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 ‘빌다’는 ‘빌어먹다’에서처럼 ‘구걸하다’의 의미나 ‘소원이나 용서를 빌다’처럼 간곡히 청하는 행위를 나타낼 때에만 사용한다. 앞으로는 이 말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없기를 이 자리를 ‘빌려’ 간곡히 부탁드린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88
3128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83
312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385
312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87
3125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89
3124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92
3123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394
312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94
312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96
3120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98
3119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399
3118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01
3117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05
311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12
3115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17
3114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18
3113 갑질 風文 2024.03.27 1420
3112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21
3111 단골 風文 2023.05.22 1421
3110 너무 風文 2023.04.24 1426
3109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29
3108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30
3107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