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5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98
3348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124
3347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213
3346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51
3345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749
3344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973
3343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813
3342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834
3341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119
3340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83
3339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82
3338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222
3337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29
3336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845
33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51
3334 행여 바람의종 2008.03.28 7163
3333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728
3332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560
333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411
3330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348
3329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427
3328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90
3327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7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