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1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07
3348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893
3347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037
3346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75
3345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32
3344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06
3343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005
3342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02
3341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527
3340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136
3339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783
3338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278
3337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10
3336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804
3335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36
3334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424
3333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177
3332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674
3331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63
333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49
3329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827
3328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425
3327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88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