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10.04 06:17

큰 소리, 간장하다

조회 수 15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큰 소리

나는 목소리가 작고 가늘다. 마초처럼 안 보이는지 상대방에게 별다른 경계심을 사지는 않는다. ‘말발’이 잘 안 먹히는 게 문제이긴 하다. 주요 인물이 아닐 듯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인다고나 할까. 뭐, 어떠랴, 틀린 말도 아니니. 말수도 적은 편이라, 그야말로 ‘민주평등사회’에 어울리는 목소리이다.

나는 목소리가 큰 것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내 얘기가 타인의 공간으로 넘어가는 건 싫다. 친구의 목소리가 높아지면 남이 들으니 작게 말하라 한다. 반면에 타인의 큰 소리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을뿐더러 즐기기까지 한다. 모르는 사람이 거침없이 떠드는 걸 듣는 게 좋다. 버스에서 딴 사람도 들리게 ‘혼잣말’을 하는 사람을 만나면 행운이다. 영화를 보며 “어이구, 거길 왜 또 들어가!” 하며 안타까워하는 어르신의 외침은 얼마나 정겨운지.

그 사람들은 왜 ‘공공장소’에서 크게 말을 할까 궁금하다. 하지만 정말 궁금한 건 따로 있다. 왜 우리는 큰 소리로 말하는 걸 ‘무례함’이나 ‘무식함’이라는 가치판단과 연결시키는 걸까? 때와 장소를 가려 목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건 현대인이 갖춰야 할 예의범절이라고 보는 것일 텐데, 그런 감각의 출처는 어딘가? 식당에서 잠시 앉는 자리처럼 시시때때로 생기는 사적 공간은 정말로 나만의 공간인가? 큰 소리는 그 공간을 침범하는 게 분명한가?

사회질서가 무서운 건, 그것이 사실의 세계와 가치의 세계를 한덩어리로 구조화함으로써 이 세계를 유일하고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만든다는 점이다. 나는 나의 이 얄팍한 감각이 의심스럽고 마음에도 안 든다.


간장하다

접시에 초밥을 얹어주며 주인장은 ‘짭짤하니 간장하지 말고 먹으라’고 한다. ‘간장을 찍다’는 뜻일 텐데, 초밥집이 아니라면 알 수 없었을 거다. 어느 고깃집 외벽에 굵은 글씨로 ‘고기하다’라고 적혀 있었다. 흐음, 고기를 먹으라는 뜻이렷다.

영어에는 명사였던 단어가 꼴바꿈 없이 그대로 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fish’는 ‘낚시를 하다’, ‘e-mail’은 ‘이메일을 보내다’라는 뜻인데, 그 명사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bus’는 ‘버스로 이동하다’, ‘text’는 ‘문자를 보내다’라는 식.

한국어는 ‘하다’를 붙여야 한다. ‘공부하다, 운동하다’처럼 앞말에 대부분의 뜻이 담겨 ‘하다’가 할 일이 크게 없는 경우가 많지만, ‘나무하다’나 ‘밥하다’처럼 사물 명사가 오면 달라진다. ‘땔감을 마련하다’, ‘밥을 짓다’라는 뜻을 가지니 말이다. ‘약하다’는 ‘마약을 복용하다’, ‘머리하다’는 ‘머리를 다듬다’, ‘한잔하다’는 ‘한잔 마시다’를 뜻한다. 가만히 보면 그 행동과 결부된 사회문화적 관행과 연결되어 있다. ‘나무하다’가 나무를 심거나 나무로 뭔가를 만드는 게 아니라, 땔감을 마련한다는 뜻인 것도 나무를 ‘땔감’으로만 대했던 시대상황과 닿아 있겠지.

맥락에 따라 다른 뜻을 갖기도 한다. ‘선물로 귀걸이했어’와 ‘귀걸이하고 권투를 했어’가 다르듯이, ‘저녁해 놓았어’라는 말에 ‘저녁하고 들어갈게’라 답하면 싸움이 날 듯. ‘택시하다, 버스하다’가 노동자에게는 운전으로, 사장에게는 회사운영으로 읽히는 걸 보면, 말 속에는 사람이 들어앉아 있는 게 분명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14
3304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44
330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322
3302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58
3301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368
330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621
3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897
3298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21
3297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776
3296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221
3295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328
3294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231
3293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59
3292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365
3291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61
3290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421
3289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665
3288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297
3287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48
3286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48
3285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116
3284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127
3283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69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