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동과 근로

우리는 일을 통해 삶을 유지하고, 여기서 생긴 여유와 축적을 바탕으로 문화를 일군다. 이렇게 삶을 유지하기 위해 힘을 쏟아 활동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노동’이라고 한다. 사람은 노동을 통해 재화를 생산하며, 소비를 통해 휴식을 하면서 힘을 다시 채워 넣는다.

이 노동을, 주어진 일자리에서 일정한 조건과 계약에 따라 품을 팔아 일하면 보통 ‘근로’라고 일컫는다. 대개 ‘근로소득세’를 내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다 보니 농민과 주부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일을 하는데도 도무지 ‘근로’의 범주에 쉽게 포착되지 않는다. 근로라는 말은 일정한 고용 조건을 전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5월1일은 국제적으로 ‘노동절’(혹은 메이데이)이다. 착취당하기 쉽고, 배움의 기회를 놓치기 쉬우며, 경제 위기에 쉽게 상처받고, 가족의 안정이 쉽게 흔들리는 노동자 집단이 국제적으로 서로 연대하며 함께 단결을 다지는 날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날을 굳이 ‘근로자의 날’이라 달리 부른다. 한때는 미국처럼 날짜도 달리했다. 노동자들의 유대를 못마땅해하던 지난날의 폐습이다.

우리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개념을 말할 때는 툭하면 ‘글로벌 스탠더드’라는 말을 내세운다. 그런 시각에서 본다면 ‘노동절’이라는 단어야말로 가장 널리 알려진 국제 표준어에 가깝다. 고용계약서가 있건 없건, 근로소득세를 내건 말건, 소득의 높고 낮음을 떠나 우리가 매일매일 공들이는 노동의 가치와 의미를 1년에 단 하루만이라도 제대로 되돌아보자. 세상의 온갖 가치와 의미는 누군가의 노동에서 비롯한다.


……………………………………………………………………………………………………………

유행어와 신조어

상품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기 시작하면서 소비를 더 자극하고 또 나아가 초과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으로 아마도 ‘일회용 상품’의 개발만큼 효율적인 것이 없었을 것이다. 반창고에서 시작하여 주사기, 면도기, 기저귀, 칫솔 등 갖가지 상품을 한번만 쓰고 버릴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러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찍히기도 한다.

잘 쓰이던 어휘 중에도 점점 사람들 입에 잘 안 오르는 말들이 있다. 각종 신조어와 유행어들이다. 일부는 꽤 긴 수명을 누리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추억의 여운만 남기고 서서히 사라져간다. 초창기 인터넷 사용자들이 사용했던 ‘아햏햏’이라는 표현은 지금은 무슨 외국어처럼 느껴진다. 또 반려견을 가리키던 ‘강쥐’라는 말은 요즘은 주로 애호가들 사이에서나 근근이 쓰인다.

비록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사회 분위기의 변화로 사용하기에 거북하게 느껴지는 말도 있다. 한때 자주 쓰이던 ‘얼짱, 몸짱’이나 ‘얼꽝’도 양성 존중의 분위기 속에서 쓰기 머쓱해진 추억의 신조어들이다. 좀 ‘꿀꿀한’ 기분을 드러내던 ‘뷁’도 이젠 기억이 날 듯 말 듯 하다.

우리는 이런 수명 짧은 말을 덜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이런 단어들도 우리의 일상생활의 사소한 구석구석을 지켜주는 의미 있는 기능을 한다. 웅장한 영화에 등장하는 단역 배우도 그 나름 중요한 배역이 있듯이 신조어나 유행어도 언어 전체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일회용 상품은 환경을 어지럽히고 있지만 일회용 어휘는 뻔하고 뻔한 언어 세계를 생동하는 생태계로 만드는 자원의 하나인 셈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28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81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Feb
    by 風文
    2022/02/11 by 風文
    Views 1263 

    역사와 욕망

  5. No Image 05Aug
    by 風文
    2022/08/05 by 風文
    Views 1265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6.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266 

    상석

  7.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1267 

    장녀, 외딸, 고명딸

  8. No Image 30Jun
    by 風文
    2023/06/30 by 風文
    Views 1270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9. No Image 19Jun
    by 風文
    2022/06/19 by 風文
    Views 1273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10. No Image 16Jul
    by 風文
    2022/07/16 by 風文
    Views 1275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11. No Image 28Jul
    by 風文
    2022/07/28 by 風文
    Views 1277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12.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278 

    가짜와 인공

  13. No Image 30May
    by 風文
    2022/05/30 by 風文
    Views 1281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14. No Image 24Feb
    by 風文
    2022/02/24 by 風文
    Views 1282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15. No Image 27Apr
    by 風文
    2022/04/27 by 風文
    Views 128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16. No Image 16Sep
    by 風文
    2022/09/16 by 風文
    Views 1286 

    그림과 말, 어이, 택배!

  17.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86 

    아주버님, 처남댁

  18.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289 

    주어 없는 말

  19. No Image 23Aug
    by 風文
    2022/08/23 by 風文
    Views 128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20. No Image 22Jun
    by 風文
    2022/06/22 by 風文
    Views 1290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21. No Image 06Jul
    by 風文
    2022/07/06 by 風文
    Views 1290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22.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292 

    더(the) 한국말

  23. No Image 07Sep
    by 風文
    2022/09/07 by 風文
    Views 1292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24. No Image 29Aug
    by 風文
    2022/08/29 by 風文
    Views 1293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25. No Image 03Jan
    by 風文
    2023/01/03 by 風文
    Views 1296 

    말하는 입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