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01 06:58

순직

조회 수 12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순직

세월호에서 학생들을 구하다 숨진 ‘기간제 교사’가 ‘현행법 때문에’ 순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본다면 배와 승객을 버리고 도망친 선장과 달리 존경과 우대를 받아야 마땅하거늘 어찌 우리의 법률은 그런 희생자에게 사후까지 이런 매정한 대우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더 나은 가치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버린 행위를 ‘순절’이라는 말로 기린다. 종종 ‘순사’라고도 한다.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죽은 이들은 ‘순국’했다고 하며, 신앙을 위한 것이었으면 ‘순교’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직분을 다하다가 희생된 사람들은 ‘순직’이라 해서 법적으로 그의 명예를 드높이고 유족에 대해 깊은 배려를 아끼지 않는다.

나라를 위해 순국한 사람들을 둘러보면 무슨 공직이나 관직에 있었던 사람들보다는 가진 것 많지 않은 사람들이 흔연히 몸을 바친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러니 기간제니 임시직이니 계약직이니를 꼽으며 순국 여부를 따진다면 이 얼마나 해괴한 일이겠는가. 순교자도 성직자인지의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뜨겁게 신앙을 지켰는가가 유일한 잣대이다. 순직도 해당 직책과 임무에 얼마나 철저했느냐가 중요하지 직위나 직급을 따진다면 오히려 모욕이 될 것이다.

세월호 사건은 공직자들이 얼마나 무책임하게 어린 학생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는지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순직자를 기린다는 것은 공적인 책임자들이 자신의 임무를 끝까지 다하도록 독려함으로써 다시는 억울하고 원통한 희생이 나오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우리가 하루하루 큰 탈 없이 사는 것은 자신이 잘나서라기보다는 누군가 안 보이는 곳에서 희생과 헌신을 하는 덕분일 것이다. 희생과 헌신을 이렇게 소홀히 다루는 법률은 하루빨리 손질해야 한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48
317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80
3171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446
3170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00
31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22
3168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7009
3167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35
316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07
316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68
3164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43
3163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31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40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46
3160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67
3159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22
315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37
3157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24
3156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86
315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161
315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72
3153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388
3152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84
315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