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6 15:47

딱 그 한마디

조회 수 8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딱 그 한마디

 연말이 되면 경기가 좋든 나쁘든, 또 호주머니 사정이 어떻건, 촘촘한 송년회 일정으로 바쁘면서도 들뜬다. 오랜만에 탁자에 둘러앉아 잔을 나누게 되면 잔을 부딪치며 ‘한마디’ 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누구에게나 공감이 가는 ‘딱 그 한마디’가 쉽지 않다. 오래전에는 거의 대부분이 무작정 ‘브라보’였는데, 언젠가 ‘위하여’가 대세를 이루다가 최근에는 그것도 좀 시시해진 모양이다.

건배사만이 아쉬운 것이 아니다. 누구에겐가 진정 기쁜 일이 생겼을 때, 그 마음을 짤막하게 전할 말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많다. 그냥 축하한다고만 할까, 아니면 부럽다고 해야 할까, 우리의 말이 퍽 마땅찮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또 궂은일에 대해서 위로를 해야 할 때도 도대체 뭐라고 해야 인사도 되고, 격려가 될지 퍽 막막하다. 누구한테든지 공감되는 말을 찾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서로 공적인 관계인지 사적인 관계인지에 따라 무언가 빛다른 표현을 하고 싶어도 대개 어중간한 말 몇 마디에 나머지는 표정으로 대충 메우게 된다. 우리의 언어는 표준어를 결정할 때 어휘의 기준만 겨우 설정됐지, 적절한 사용법의 기준은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공적인 모임에 가서도 첫인사를 그저 “열심히 하겠습니다. 잘 부탁합니다.” 정도로 대충 때우고 있다. 이 얼마나 껄렁한 언어문화인가? 이러한 ‘경우에 맞는 말’들은 대단한 지식인이 제안해서 표준화할 수도 없는 일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광범위한 시민사회 속에서 형성이 되어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유대’ 속에서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경기도 안 좋다고 하고, 당장 내년의 삶도 불안하지만 어려운 세상에 남들과 서로 공감 어린 말을 나눈다는 것도 중요한 삶의 에너지이다. 가까운 이들과 공감대를 두텁게 쌓아가는 진심이 깃든 ‘딱 그 한마디’를 찾아두는 소박한 지혜가 필요하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710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62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791 

    '미망인'이란 말

  5.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678 

    또 다른 공용어

  6.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858 

    편한 마음으로

  7.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873 

    치욕의 언어

  8.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825 

    딱 그 한마디

  9.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790 

    선교와 압박

  10.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790 

    또 다른 이름

  11.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186 

    옹알이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609 

    잡담의 가치

  13.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821 

    언어 경찰

  14.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957 

    대명사의 탈출

  15. No Image 20Jul
    by 風文
    2020/07/20 by 風文
    Views 2261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16. No Image 19Jul
    by 風文
    2020/07/19 by 風文
    Views 272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17. No Image 19Jul
    by 風文
    2020/07/19 by 風文
    Views 2247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18. No Image 19Jul
    by 風文
    2020/07/19 by 風文
    Views 26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19. No Image 18Jul
    by 風文
    2020/07/18 by 風文
    Views 2060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20. No Image 17Jul
    by 風文
    2020/07/17 by 風文
    Views 256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21. No Image 16Jul
    by 風文
    2020/07/16 by 風文
    Views 2407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22. No Image 15Jul
    by 風文
    2020/07/15 by 風文
    Views 247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23. No Image 15Jul
    by 風文
    2020/07/15 by 風文
    Views 2034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24. No Image 14Jul
    by 風文
    2020/07/14 by 風文
    Views 250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25. No Image 14Jul
    by 風文
    2020/07/14 by 風文
    Views 2022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