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29 15:02

하룻강아지 / 밥약

조회 수 16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룻강아지

지난주 야당 대표 국회 연설 때 ‘막말 공방’이 도졌다. 연설 중계방송의 ‘오프 마이크’를 통해 장내 소란이 전해졌을 때만 해도 그저 그런 ‘국회의 일상’이라 여겼다. ‘너나 잘해’ 외친 여당 대표, 이름에 빗대 ‘철수해라’ 비아냥댄 여당 의원의 발언은 얘깃거리로 삼기 민망하다. 현장 분위기에 휩쓸려 ‘어쩌다 보니 튀어나온’ 실수였을 것이라 덮어두고 싶을 정도이니까. 여야 서로가 ‘새정치민주연합’을 ‘새민련’으로, ‘새누리당’을 ‘새리당’으로 부르며 치고받는 모양도 점잖지 않아 보인다. ‘내 이름을 이렇게 불러 달라’ 하면 그 뜻을 존중하는 기본을 지키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막말 공방’의 정점은 ‘하룻강아지’를 입에 올린 여당 대변인 말이었다. 공식 브리핑을 통해 ‘초년생 당 대표가 상대 당 대표를 향해 인신공격성 발언을 서슴지 않은 것’이라 단정했기 때문이다. 야당 대표를 ‘범에게 달려드는 하룻강아지’ 꼴로 만든 것이다.

사전은 ‘하룻강아지’의 비유적인 뜻을 ‘사회적 경험이 적고 얕은 지식만을 가진 어린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로 풀이한다. ‘하룻강아지’는 ‘태어난 지 하루 된’ 강아지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하룻’은 ‘나이가 한 살 된 소, 말 따위를 이르는 말’인 ‘하릅’이 변한 것으로 보는 게 통설이다. 우리 조상들은 하릅(1), 두습(2), 사릅(3), 나릅(4), 다습(5), 여습(6)…처럼 가축의 나이를 달리 매겼다. 하룻망아지, 하룻비둘기처럼 하룻강아지는 ‘한 살 된 강아지’인 것이다. ‘하루 된 강아지’의 근거로 꼽히는 ‘일일지구(一日之狗) 부지외호(不知畏虎)’는 중국 속담이 아니다. 다산 정약용이 고유 속담을 한문으로 옮겨 1820년 이맘때 펴낸 <이담속찬>(耳談續纂)이 출처다. 갓 태어난 강아지는 눈도 뜨지 않은 ‘눈에 뵈는 게 없는’ 존재인 것이니 ‘하룻’(하릅)의 뜻을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 한 살 된 강아지쯤 되어야 찧고 까불며 나댈 수 있는 것이다.


………………………………………………………………………………………………………………
밥약

학보를 받아 보며 아쉬운 때가 많았는데, 이번엔 참기 힘들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에 후배가 찍어 올린 학보를 보았다. 기사 제목 ‘해드라인의 맞춤법부터’가 눈에 들어왔다. ‘해드라인’이 헤드라인으로 버젓이 찍혀 나오는 그 학보를 찬찬히 읽어 보았다. 정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머리기사에 올린 학보는 학생회·학교 관련 소식과 문화가 이슈, 지상 철학 강좌 따위를 다루고 있었다. 다른 기사는 크게 흠잡을 데 없었고 학생기자와 교수의 칼럼은 제 나름의 시각을 잘 담아내고 있었다. ‘괜찮게 만든 학보’라는 생각을 하며 신문을 넘기는데 고개 갸우뚱하게 하는 기사 몇 꼭지가 눈길을 끌었다.

 ‘중국어 강의 신설’, ‘대학원생의 눈물 모은 생수통’, ‘학교 빵 매출 급증으로 등록금 10% 인하’ 따위의 기사는 납득하기 어려운 내용이었다. “총장과 학생이 마주 앉아 밥을 먹는 ‘총장 밥약 사업’ 잠정 중단”을 알린 기사가 특히 그랬다. “과다한 식사로 총장이 비만으로 고생하면서… ‘밥약 부총장’ 임명안이 제기됐다”는 사연을 보며 요즘 학생들은 총장과 먹는 밥을 ‘약’(藥)이라 생각한다, 지레짐작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밥약’은 ‘밥 먹는 약속’이라는 것이다.

혼자 밥 먹는 것을 ‘혼밥’, 이런 무리를 ‘혼밥족(-族)’이라 한다는 걸 떠올리니 그럴듯했다. 관련 신어를 찾으니 ‘밥터디’가 나온다. ‘따로 공부하다가 밥만 함께 먹는 모임’, ‘함께 밥 먹으며 공부하는 모임’으로 ‘밥+스터디(그룹)’를 합해 만든 말이다. 2005년 11월에 매체에 등장했으니 쓰임은 더 오래되었을 것이다. 올해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혼밥’, ‘밥약’의 형뻘인 셈이다. 그나저나 ‘총장밥약사업 중단’을 다룬 학보 기사의 ‘팩트’를 찾아 관련 정보를 뒤져보니 허망했다. 학보 상단에 ‘만우절 특집’이란 글자가 떡하니 박혀 있다. ‘중강’(中講), ‘눈물 생수통’, ‘등록금 10% 인하’ 또한 그랬던 것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30
3040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172
3039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70
3038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157
3037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56
303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41
3035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34
3034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28
3033 다대기, 닭도리탕 바람의종 2012.07.06 13123
3032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122
3031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101
3030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077
3029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40
3028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29
3027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8
3026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03
3025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96
3024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990
3023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87
3022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76
3021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72
3020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968
3019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