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4.29 20:20

지슬

조회 수 15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슬

대만 총통부 건너에는 ‘백색공포정치 수난자 기념비’가 있다. 1947년 2월27일 전매품인 담배를 팔던 여성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2·28사건’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대륙에서 온 ‘외성인’이 원주민인 ‘내성인’을 과잉진압하면서 촉발된 이 사태는 28일에 타이베이시 전역으로, 그 이후에는 대만 전 섬으로 확대되어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1987년까지 40년간 이어진 ‘백색공포’로 희생된 사람은 최대 2만8000명으로 추산되지만 실체는 여태 분명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대만의 ‘2·28사건’ 이듬해 제주에서는 ‘4·3사건’이 발생했다. ‘섬 해안선 5㎞ 밖의 사람을 무조건 사살하라’는 명령으로 당시 제주 인구의 10분의 1이 희생된 사건이다. 이 사태를 배경으로 한 영화 <지슬>이 관객 13만명을 넘어섰다. <지슬>을 보는 관객은 눈물 콧물 훔치다가 어느새 키득대며 웃는다. ‘일제 총, 미제 총’을 두고 승강이하는 대목, 제 목숨 위태로운데도 ‘홀로 남은 돼지 밥’을 걱정하는 원식이 삼촌의 대사에서는 웃음이 터지고 무동 어멍(어머니)이 불에 타 죽으면서 남긴 감자, 군인에게 유린된 순덕의 주검 옆에 놓인 감자를 보면서는 눈물이 흐른다. 제목이 ‘지슬’인 까닭이 여기 있을 것이다.

제주 출신 후배에게 <지슬>을 본 소감을 물었더니 이메일로 답이 왔다. ‘4·3사건’에 대한 소회보다 ‘대사의 사실성’에 주목한 내용이었다. 뭍의 관객을 위해 자막 처리한 사투리는 물론이고 상황 속 대화도 ‘토박이의 실상을 잘 담아냈다’는 것이다. ‘어른들과 대화하는 시간보다 텔레비전을 접하는 시간이 많은 젊은층은 지슬이 무슨 말인지 영화를 통해 비로소 알게 되었다’고 밝힌 그의 답장은 이렇게 끝났다. ‘말과 역사가 사라져가고 있습니다. 4·3과 감저(고구마)와 지슬(감자)이 모두 잊혀져 갑니다.’ 그의 말에는 잊혀가는 ‘4·3’과 사라져가는 제주 사투리에 대한 아쉬움이 담겨 있었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38
3018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419
3017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2429
3016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434
301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459
3014 갑질 風文 2024.03.27 2471
3013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506
3012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509
3011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582
30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風文 2020.07.15 2586
3009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2587
30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風文 2020.07.14 2640
300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風文 2020.07.17 2660
3006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727
300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風文 2020.07.19 2754
300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風文 2020.07.19 2815
3003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341
3002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427
3001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503
3000 발자국 바람의종 2008.11.11 4565
2999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73
2998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44
299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