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44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41
297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349
2973 니가, 지가 바람의종 2008.11.18 5349
2972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58
2971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70
2970 삐라 바람의종 2008.02.15 5375
2969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83
2968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93
2967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24
2966 바람의종 2008.09.06 5462
2965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70
2964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90
2963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98
2962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509
2961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6
2960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18
2959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21
2958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521
2957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524
295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525
2955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43
2954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75
2953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