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88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02
488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18
487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03
486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85
485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408
484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29
483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93
482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676
481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97
480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32
479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57
»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884
477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98
476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806
475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304
47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647
473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325
472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83
471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45
470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81
469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018
468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462
467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