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7

묫자리 / 묏자리

조회 수 1243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묫자리 / 묏자리

얼마 안 있으면 한가위다. 한가위를 앞두고 성묘(省墓)하러 가는 차들로 주말이면 고속도로가 몸살을 앓는다. 주로 설이나 추석, 한식(寒食)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 살피고 돌보는 일을 성묘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의 중요한 관습 중 하나다.

 묘(墓)의 순 우리말은 뫼다. 뫼는 사람의 무덤을 말한다. 무덤은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을 가리킨다. 무덤과 같은 뜻의 단어로는 분묘(墳墓), 유택(幽宅), 음택(陰宅) 등이 있다. 산소(山所)는 뫼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그런데 이 뫼를 쓸 자리를 이를 때 “이번 한국 방문에서 그녀는 남편이 자신의 묘자리로 그토록 원했던 통영의 바다가 보이는 언덕을 홀로 둘러볼 작정이다” “아파트와 통장을 아내 명의로 돌렸어. 그러고 나선 묫자리를 보러 다녔지” “운명을 다스리는 묫자리”처럼 ‘묘자리’ ‘묫자리’를 사용하는 예가 흔하다. 이 ‘묘자리’ ‘묫자리’는 표준어가 아니다. ‘묫자리’는 ‘못자리’(볍씨를 뿌려 모를 기르는 곳)의 제주 방언이다. ‘뫼를 쓸 자리’를 가리키는 정확한 단어는 ‘묏자리’다. 또 ‘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로 ‘메’가 있는데―평안 방언인 ‘뫼’도 있다―이를 ‘뫼’(무덤)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전에는 어르신들께서 생전에 자신이 죽어서 묻힐 자리, 즉 묏자리를 준비하고 또 직접 보고 싶어 하셨다. 죽음에 대한 어르신들의 태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한 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24
2952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79
2951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610
2950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632
2949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9
2948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65
294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678
2946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702
2945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705
2944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708
2943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710
2942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710
2941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728
2940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34
2939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38
293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39
2937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747
2936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9
2935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74
2934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778
2933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79
2932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81
2931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