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8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숙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밤 8시에서 9시쯤에 가장 많이 분비되고 새벽 세 시가 넘어가면 양이 급격히 감소한다. 그러니 잠잘 시간을 놓치면 시곗바늘이 새벽을 향해 달려도 눈이 말똥말똥해지는 게 이해된다. 요즘 늦더위에 자주 이런 일을 겪는다면 잣콩국수를 먹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국수 면발에는 멜라토닌이 함유돼 있고 콩과 견과류는 멜라토닌 분비를 도와주기 때문이다.

"뜨거운 물에 국수를 넣고 한소끔 끓어오르면 찬물을 붓고 다시 삶는다. 그다음은 건져서 얼음물에 헹군 뒤 체에 받혀 물기를 빼준다." 잣콩국수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 글의 일부분이다. 조리법을 설명한 글을 보면 이처럼 '체에 받히다' 또는 '체에 받치다'라고 쓴 걸 자주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소에게 엉덩이를 받혔다"와 같은 경우에 쓰고, '받치다'는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란 뜻으로 "항아리 아래에 벽돌을 받쳐 기울어지는 걸 막았다"처럼 사용한다. 건더기와 액체를 체와 같은 거르는 장치에 올려 액체를 분리하는 것을 표현하려면 '받히다'나 '받치다'가 아니라 '밭치다'를 써야 한다. '밭치다'는 '밭다'를 강조해서 이르는 말이다. "항아리에 담근 술을 체에 밭아/밭쳐 거른 후 술지게미는 먹기도 했다" 처럼 쓰는 게 제대로 사용한 사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68
2930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83
2929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72
2928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67
2927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60
2926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54
2925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3
2924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25
2923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321
2922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15
2921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311
2920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301
2919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87
291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1
2917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0
2916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78
2915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274
2914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72
2913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66
2912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59
2911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57
2910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57
2909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