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8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요즘 극장가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디 워(D-WAR)'의 흥행은 평단의 시각을 '무색케' 할 만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앙선관위는 각 당이 대선 경선에서부터 정책선거를 '도입케' 하고자 매니페스토 운동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예문에 나오는 '무색케' '도입케'라는 단어의 표기 방식은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우리말 어문 규정상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어문 규정에 따라 쓰려면 어색하기는 하지만 '무색게' '도입게'라고 써야 옳다. 한글 맞춤법에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실망하게→실망케, 무심하지→무심치, 실천하도록→실천토록). 그런데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하' 전체가 떨어져나가는 경우는 '하' 앞의 말이 안울림소리(ㄱ, ㅂ, ㅅ 등)로 끝나는 받침이 있는 경우(넉넉하지→넉넉지, 섭섭하지→섭섭지, 깨끗하지→깨끗지)"라고 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터넷이나 신문, 잡지 등을 살펴봐도 '무색게' '도입게'라고 표기하는 모습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처럼 언중이 생소하고 어색하다고 느낀다면 이 또한 올바른 형태라고 하기 어렵다. 이럴 경우 '무색하게' '도입하게'처럼 쓰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66
2930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81
2929 쥬스는 주스 바람의종 2010.03.15 11285
2928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36
2927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930
2926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99
2925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608
2924 바람의종 2008.11.01 7282
2923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527
2922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456
2921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525
2920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575
2919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61
2918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39
2917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306
2916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94
2915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1074
2914 준말들 바람의종 2010.08.19 10651
2913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54
2912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255
2911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40
2910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99
2909 죽음을 당하다 바람의종 2010.01.26 107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