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6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요즘 극장가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디 워(D-WAR)'의 흥행은 평단의 시각을 '무색케' 할 만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앙선관위는 각 당이 대선 경선에서부터 정책선거를 '도입케' 하고자 매니페스토 운동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예문에 나오는 '무색케' '도입케'라는 단어의 표기 방식은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우리말 어문 규정상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어문 규정에 따라 쓰려면 어색하기는 하지만 '무색게' '도입게'라고 써야 옳다. 한글 맞춤법에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실망하게→실망케, 무심하지→무심치, 실천하도록→실천토록). 그런데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하' 전체가 떨어져나가는 경우는 '하' 앞의 말이 안울림소리(ㄱ, ㅂ, ㅅ 등)로 끝나는 받침이 있는 경우(넉넉하지→넉넉지, 섭섭하지→섭섭지, 깨끗하지→깨끗지)"라고 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터넷이나 신문, 잡지 등을 살펴봐도 '무색게' '도입게'라고 표기하는 모습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처럼 언중이 생소하고 어색하다고 느낀다면 이 또한 올바른 형태라고 하기 어렵다. 이럴 경우 '무색하게' '도입하게'처럼 쓰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23
2930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797
2929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96
2928 밤새 / 밤새워 바람의종 2012.09.24 10774
2927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42
2926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15
2925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607
2924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16
2923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96
2922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57
2921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661
2920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바람의종 2012.09.14 14707
2919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71
2918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761
2917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405
2916 바람의종 2012.09.12 8999
2915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070
291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43
2913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64
2912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09
2911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16
2910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289
2909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2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