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5.04 16:47

입천장이 '데이다'

조회 수 1424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입천장이 '데이다'

뼛속까지 시원한 것을 찾게 되는 여름. 그러나 삼계탕 같은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는 이도 많다. 흐르는 땀을 닦는 것으론 모자라 입천장까지 데어 가며 먹는 모습이 미련해 보일 수도 있지만 양기가 몸 밖으로 빠져나가기 쉬운 여름엔 속을 덥혀 주는 뜨끈뜨끈한 음식이 오히려 좋다고 한다.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살이 상하는 것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을 '데다'라고 한다. 그런데 이를 '데이다'로 알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펄펄 끓는 찌개를 떠먹다가 혀가 데였어" "입천장이 데이는 줄도 모르고 뚝배기 한 그릇을 다 비웠다"와 같이 쓰고 있지만 '데었어' '데는'으로 고쳐야 맞다.

'데다'는 "남자한테 데일 만큼 데였어"처럼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 나다'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이 역시 '데이다'를 기본형으로 알고 활용해서는 안 된다. "남자한테 델 만큼 데었어"가 올바른 표현이다.

예전에 '데이다'는 '데우다' '덥히다'의 의미로 쓰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말이다. "식탁 위의 된장찌개를 데여 먹어라" "인삼은 몸을 데여 피를 잘 돌게 한다" "장마로 눅눅해진 방을 데이려고 군불을 지폈다"와 같이 사용하면 안 된다. '데워' '덥혀' '덥히려고'로 바로잡아야 한다.

주로 찬 액체나 식은 음식에 열을 가해 뜨겁게 하는 것은 '데우다', 방이나 몸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것은 '덥히다'를 써서 표현한다. "가슴을 훈훈하게 덥혀 주는 감동적인 실화다"처럼 '덥히다'는 마음.감정 등을 푸근하고 흐뭇하게 하다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0
2886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43
2885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17
2884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570
2883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01
2882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21
2881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83
2880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89
2879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148
2878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0
2877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2
2876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2
2875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95
2874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93
2873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398
2872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57
2871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56
2870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36
»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40
2868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46
2867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70
2866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24
2865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7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