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3.05 09:49

비속어

조회 수 1148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비속어

명확하게 정의하긴 어렵지만 통속적으로 쓰이는 저속한 말을 속어(俗語)라고 한다. 일반 대중 사이에서 심심치 않게 사용되면서도 정통 어법에서는 벗어난 말을 가리킨다. '꼴통, 죽사발(묵사발), 그놈, 양아치, 조진다, 쪽팔린다, 떡 됐다, (~의) 밥이다, (내가) 쏜다, 못해먹겠다' 등이 이런 속어라 할 수 있다. 속어는 정식 대화의 언어나 문장어(文章語)로서는 선뜻 내키지 않지만 친근한 사이에서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짱짱하다, 긁는다, (~를) 깼다, 망했다, 국물도 없다, 죽치고 앉아 있다, 부스럭지(부스러기)를 얻어먹는다' 등도 거친 표현으로 격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넓게는 속어에 포함할 수 있다.

속어보다 더 비천한 느낌을 갖게 하며 욕설로 느끼게 하는 것은 비어(卑語)라고 한다. '대가리(대갈통), 마빡, 상판때기, 주둥이(아가리), 다리몽댕이, 처먹는다, 닥쳐라, 뒈진다' 등 상대에게 모멸감을 주는 말이 비어다. 요즘은 특히 인터넷상에서 이런 비어가 난무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속어와 비어를 아울러 비속어라 하는데, 이런 비속어는 올바른 언어생활을 저해하고 특히 청소년에게 정서적으로 나쁜 영향을 준다. 어른들이 이런 비속어를 마구 쓴다면 청소년이 일상대화나 인터넷에서 즐겨 쓰는 '열라, 졸라, 절라, 걍, 넘넘, 지대로, 므흣' 등 일그러진 말을 타이를 구실이 없어진다.

비속어를 섞어 가며 하는 막말을 흔히 저잣거리의 시정잡배들이나 하는 말에 비유한다. 그만큼 천박한 말이라는 뜻이다. 말은 마음의 초상이라 했다. 만약 자리를 가리지 않고 이런 말을 마구 쓴다면 그 사람의 정서나 정신을 의심해 봐야 한다. 참, 위에서 든 속어의 예는 모두 며칠 전 대통령이 연설에서 한 말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91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60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6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87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3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64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3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93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85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88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8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4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05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7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51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44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1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62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