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07 14:59

붙이다, 부치다

조회 수 1595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붙이다, 부치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품격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건물마다 난삽하게 매달린 간판을 정리하고 지저분한 현수막을 제거하거나 각종 표지판을 정비하는 등 지역 주민의 쾌적한 생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중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처럼 어떤 일을 작심하여 세차게 밀고 나가는 모양을 표현할 때 은유적으로 '걷어붙이다'란 말을 쓴다. 하지만 발음상의 이유인지 "옷 소매를 걷어부치는 버릇이 있어 금방 늘어나 버렸다" "회사를 살리고 사업장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사가 팔을 걷어부치기로 했다"처럼 '걷어부치다'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붙이다'는 '붙다'의 사동형으로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한다는 기본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걷어붙이다'의 경우 소매를 흘러내리지 않도록 단단히 접어 올린 모양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주체의 마음가짐이나 자세까지 의미가 확장된 듯하다. '붙이다'와 '부치다' 중 어느 표현을 써야 할지 모호할 때는 '붙이다' 또는 '부치다'가 올 자리에 우선 '붙게 하다'는 말을 넣어보면 알 수 있다. 의미 전달이 되면 '붙이다'가 맞는 표현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대개 '부치다'가 맞는 표현이다. 가령 '힘에 붙이다'는 떨어지지 않도록 무언가를 갖다 붙인다는 의미가 아니므로 '부치다'를 써야 한다. 편지.회의 등도 '보내다' '넘기어 맡기다'는 뜻이므로 '편지를 부치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등으로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80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60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6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87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3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64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3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93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82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83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8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4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05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7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51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37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1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56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