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47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봄만큼 여행에 대한 충동으로 들뜨는 계절도 없다. '방랑과 변화를 사랑하는 건 살아 있다는 증거'라고 한 바그너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속살거리는 햇살이 그만큼 유혹적이다. 목적과 행선지는 달라도 봄이 꽃을 피우듯 사람들은 여행을 통해 활력을 되찾는다. 여행이 주는 선물인 셈이다. 떠나기 위해서는 일단 목적지를 정해야 한다. 이를 흔히 '행선지(行先地)'라는 말로 표현해 "철쭉이 한창인 지리산 바래봉으로 갈지, 녹차의 향이 짙어 가는 보성으로 갈지 행선지를 정하느라 고민이다"와 같이 사용한다. 하지만 '행선지'는 '목적지를 향해 가다'는 뜻의 '행선(行先.ゆきさき)'에 '지(地)'가 붙은 일본식 한자어로 '가는 곳' '갈 곳'으로 바꿔 쓰는 게 좋다. 갈 데가 결정되면 교통수단이 필요한데 이때도 유의해야 할 말이 있다. "육로로 울릉도를 돌아보려면 택시를 대절하는 게 가장 편하다" "올봄이 끝나기 전에 관광버스를 대절해 마을 사람 모두 꽃구경 가기로 했다"처럼 '대절(貸切.かしきり)'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하지만 이 역시 일본말의 잔재다. '계약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그 사람에게만 빌려 줘 다른 사람의 사용을 금하는 일'이라는 '대절'과 같은 의미를 지닌 말로는 '전세(專貰)'가 있다. "관광버스를 대절하다"는 "관광버스를 전세 내다", "대절 버스로 가다"는 "전세 버스로 가다", "전세 버스를 대절하다"는 "전세 버스를 이용하다" 등으로 바꿔 쓰는 게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06
2864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69
2863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53
2862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2050
2861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40
2860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2031
2859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27
2858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25
2857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2024
2856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20
2855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2017
2854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2015
2853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2012
2852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2000
2851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93
2850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92
2849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64
2848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962
2847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52
28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51
2845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8
2844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933
2843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9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