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7 12:08

첫번째, 첫 번째

조회 수 964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첫번째, 첫 번째

'처음'이라는 것은 그 이후의 어떤 것과는 달리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기도 한다. 그래서 '첫'이 '맨 처음의'를 뜻하는 관형사('첫 경험/첫 시험/첫 월급')임에도 '첫사랑, 첫눈, 첫인상, 첫걸음마, 첫손가락' 등은 합성어로 인정돼 뒷말과 붙여 쓴다. 그러면 '첫번째/ 첫 번째'는 어떻게 써야 할까?

'첫 번째'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째'로 이뤄진 말로, 맨 처음의 차례나 횟수를 뜻한다. 그러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써야 한다. 일부 사전에서는 '첫 번째'의 경우 '첫'이 '두 번째, 세 번째…'의 '두, 세…'와는 달리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맨 처음'의 뜻을 나타낸다고 봐서 합성어로 인정해 붙여 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첫'이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두, 세…'는 수를 나타내지만 모두 관형사이므로 특별히 '첫'만 뒷말과 붙여 쓸 이유가 없다. 더구나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와 연속성이 있는 말이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첫번째, 두번째…아흔아홉번째…'처럼 모두 붙여 쓰려면 이들을 모두 합성어로 보아야 하는데, 무한으로 이어지는 수와 '번째'의 결합을 모두 합성어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를 포함해 관형사 뒤에 '번째'가 이어진 말은 '첫 번째, 두 번째…아흔아홉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91
3062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814
3061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818
3060 망신 風文 2023.06.09 1818
3059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820
305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821
3057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839
3056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40
3055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842
3054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847
3053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49
3052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53
3051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865
3050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875
3049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876
3048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90
304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94
3046 위드 코로나, 아이에이이에이 風文 2022.10.05 1901
3045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902
304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10
304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926
304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932
3041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9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