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3

푸른색, 파란색

조회 수 1067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푸른색, 파란색

파릇파릇 돋아나는 봄의 새싹을 '푸른 새싹', '파란 새싹' 어느 쪽으로 불러야 할까. 둘 다 가능하다. 사전에는 '푸르다'와 '파랗다'가 똑같이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고 돼 있다.

'푸르다'의 옛말은 '프르다'로 '풀'의 고어인 '플'과 맥을 같이한다. 그렇다면 '푸르다'는 풀의 빛깔을 나타낸다. 한자어로 치면 녹색(綠色)이다. '파랗다'는 옛말이 '파라다'로 '풀(플)'과 거리가 있어 보인다. '파랗다'에서 나온 '퍼렇다' '시퍼렇다'를 보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청색(靑色)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르다' '파랗다'를 동일시하는 것은 둘 다 '풀'에서 나온 말로 풀색과 하늘색을 뭉뚱그려 하나로 봤기 때문이라 설명하는 사람이 있다. 자연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한 말이 아니라 심정의 세계를 적당히 노래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라 보는 이도 있다.

신호등이 문제다. 아이에게 파란색이 들어오면 길을 건너라고 했더니 하루 종일 기다려도 파란 신호등이 안 들어온다고 하더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물감 등의 색상에선 '파랑'이 하늘색만 뜻하기 때문이다. '푸른' '파란'을 같은 뜻으로 쓰다 보니 '녹색 신호등'을 '청색 신호등'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푸른' '파란' 어느 쪽으로 써도 틀린 말은 아니지만, 어원에 맞게 녹색과 청색으로 구분해 '푸른 새싹' '푸른 신호등', '파란 하늘' '파란 바다' 등으로 구분해 쓴다면 색상에서 오는 혼란을 피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14
3216 '-시키다’ 風文 2023.12.22 1558
3215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64
3214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65
3213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67
321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69
32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70
3210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71
3209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75
3208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76
320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76
3206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576
3205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76
3204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76
3203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81
3202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82
320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85
3200 ○○노조 風文 2022.12.26 1585
3199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585
3198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586
3197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87
3196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92
319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