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25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어느 날 여고 시절 우연히 만난 사람/ 변치 말자 약속했던 우정의 친구였네/ 수많은 세월이 말없이 흘러…". 예전에 즐겨 듣던 '여고시절'이란 노래 가사다. 노래처럼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면 학창 시절의 추억을 얘기하며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동창 사이에선 "기지배, 요즘 잘나간다며" "야 임마, 정말 오랜만이다"처럼 격이 없이 '기지배' '임마'라는 말을 주고받는다. 인터넷상에서도 '기지배' ' 임마'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지배' '임마'는 '계집애' '인마'가 바른 표현이다.

'임마'는 '인마'를 편리하게 발음하다 보니 생긴 것이며, '인마'는 '이놈아'가 줄어든 말이다. '인마'의 'ㄴ'은 '이놈아'의 'ㄴ'에서 온 것이다. '인마'가 '임마'로 발음되는 것은 'ㄴ' 뒤에 'ㅁ'이 올 때는 'ㄴ'보다 'ㅁ'으로 소리 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신물, 근무, 논문'을 '심물, 금무, 놈문'으로 발음하는 게 편한 이치와 같다. 물론 표준발음대로 하려면 'ㄴ'을 정확하게 발음해야 한다. '인마'는 "야, 너 그런 눈으로 날 쳐다보지 마, 인마. 가끔가다가 네가 엄만지, 내가 엄만지 헷갈린단 말야"(공지영 '즐거운 나의 집')처럼 사용된다.

"기지배, 왜 연락 안 했니" "여우 같은 지지배" "참 이번 기집애는 어린 것이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황순원 '소나기')에서처럼 '기지배, 지지배, 기집애' 등으로도 쓰이지만 이들 또한 표준어는 아니다. '기지배'는 방언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지지배, 기집애'는 '계집애'가 맞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87
2842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814
2841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31
2840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58
2839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403
2838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92
2837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504
2836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20
2835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283
283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2833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8028
283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905
283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663
2830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1016
282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763
282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637
2827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204
2826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60
2825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111
2824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206
2823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10069
2822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33
282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