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14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어느 날 여고 시절 우연히 만난 사람/ 변치 말자 약속했던 우정의 친구였네/ 수많은 세월이 말없이 흘러…". 예전에 즐겨 듣던 '여고시절'이란 노래 가사다. 노래처럼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면 학창 시절의 추억을 얘기하며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동창 사이에선 "기지배, 요즘 잘나간다며" "야 임마, 정말 오랜만이다"처럼 격이 없이 '기지배' '임마'라는 말을 주고받는다. 인터넷상에서도 '기지배' ' 임마'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지배' '임마'는 '계집애' '인마'가 바른 표현이다.

'임마'는 '인마'를 편리하게 발음하다 보니 생긴 것이며, '인마'는 '이놈아'가 줄어든 말이다. '인마'의 'ㄴ'은 '이놈아'의 'ㄴ'에서 온 것이다. '인마'가 '임마'로 발음되는 것은 'ㄴ' 뒤에 'ㅁ'이 올 때는 'ㄴ'보다 'ㅁ'으로 소리 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신물, 근무, 논문'을 '심물, 금무, 놈문'으로 발음하는 게 편한 이치와 같다. 물론 표준발음대로 하려면 'ㄴ'을 정확하게 발음해야 한다. '인마'는 "야, 너 그런 눈으로 날 쳐다보지 마, 인마. 가끔가다가 네가 엄만지, 내가 엄만지 헷갈린단 말야"(공지영 '즐거운 나의 집')처럼 사용된다.

"기지배, 왜 연락 안 했니" "여우 같은 지지배" "참 이번 기집애는 어린 것이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황순원 '소나기')에서처럼 '기지배, 지지배, 기집애' 등으로도 쓰이지만 이들 또한 표준어는 아니다. '기지배'는 방언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지지배, 기집애'는 '계집애'가 맞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0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50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89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7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2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34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59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11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8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26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10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91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49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39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19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0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97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33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22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77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76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3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