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40

본따다

조회 수 97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본따다

모방 심리가 강한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게 마련이다. 유대인 속담에 배움은 흉내 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말도 있다. 백 마디 충고보다 부모의 바른 행동 하나가 자녀에게는 더 큰 가르침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무엇을 본보기로 삼아 그대로 좇아 하는 것, 또는 이미 있는 대상을 본으로 삼아 그대로 좇아 만드는 것을 이를 때 '본따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어린 시절 그는 독서를 즐기던 아버지의 모습을 본따 서재에 앉아 눈썹을 치켜뜨고 책장을 넘기는 시늉을 하다가 책과 친해지게 됐다고 한다" "한글의 닿소리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따고, 홀소리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본땄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본떠, 본뜨고, 본떴다'로 고쳐 써야 맞다. '본따, 본따고, 본땄다'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은 '본따다'를 기본형으로 잘못 알고 있는 데서 오는 오류로 보인다. 그러나 '본(本)'에 '따다'가 아닌 '뜨다'가 합쳐진 '본뜨다'가 기본형으로, 용언의 어간 '으'가 '아/어' 앞에서 탈락하는 동사 '뜨다'와 같은 꼴로 활용된다.

"인간은 남의 행동에 맞춰 행동하도록, 대개 그들의 행동을 본뜨도록 진화해 왔다" "인기 있는 오락 프로그램의 상당수가 일본 방송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의 그림은 옛 민화의 이미지를 본뜨고 그 위에 화려한 색깔을 덧입혔다"처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0
2820 정보무늬 바람의종 2011.11.13 12416
2819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71
2818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38
2817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0
2816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2815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7
281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6
2813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21
2812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60
2811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21
2810 점쟁이 바람의종 2008.04.08 7156
2809 점심 바람의종 2010.08.17 8575
2808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96
2807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49
2806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54
2805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498
2804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21
2803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7
2802 절감, 저감 바람의종 2010.01.27 17796
2801 전화 받다 / 전화받다 바람의종 2011.11.24 10277
2800 전향적? 바람의종 2009.10.28 10980
2799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