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38

있사오니 / 있아오니

조회 수 1312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있사오니 / 있아오니

철도역이나 관공서, 대형 할인점 등에 가면 "승차권을 임시 매표소에서 발급하고 있아오니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을 게재해 안내하고 있아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굴비세트를 선착순으로 할인판매하고 있아오니 서두르십시오" 등의 문구를 볼 수 있다. 이렇듯 공고문이나 안내장에서 '있아오니'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 이는 표기법상 옳지 않다. '있사오니(있으오니, 있으니)'라고 써야 한다. 우리말에서 '-사오-, -으오-, -으니'라는 어미는 있지만 '-아오-'라는 어미는 없기 때문이다.

'있사오니'를 분석하면 '있(다)+사오+니'의 형태다. 여기서 '-사오-'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자신의 진술을 겸양해 나타내는 어미다. '읽으오니, 잡으오리다'같이 서술이나 의문에 공손함을 더해 주는 어미'-으오-'보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낸다. '-니'는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당신을 믿사오니 힘내세요"에서 '믿사오니'를 '믿아오니'라고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있사오니'에서는 어간 '있'의 받침이 'ㅆ'이어서 뒤에 다시 'ㅅ'이 오면 중복되는 느낌이 있어 '있아오니'로 잘못 쓰고 있는 것 같다.

'-사오-'처럼 겸양을 나타내는 어미로는 ''삽-(밥을 먹삽고/ 그 사람을 믿었삽더니)' '-자오-(듣자오니/ 받자와/ 묻자와)' '-잡-(스승의 뜻을 좇잡나이다/ 폐하의 명을 받잡고)' '-옵-(가시옵소서/진지 드시옵소서/저를 불러 주시옵소서)'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33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86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22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33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37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64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1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53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092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59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63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69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34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58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66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3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37
3045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67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14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02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78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