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1 16:04

쌍둥밤 / 쌍동밤

조회 수 951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쌍둥밤 / 쌍동밤

조율이시. 차례에 쓰이는 과실을 상에 올릴 때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차린다는 뜻이다. 과실이 품은 씨의 수에 따라 감보다 배를 먼저 놓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율곡의 ''격몽요결''엔 율조시이로 돼 있는 등 지방이나 가정에 따라 그 순서는 조금씩 다르다.

제사상에 올릴 밤을 까다 보면 한 껍데기 속에 두 쪽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할 때가 있다. 이런 밤을 가리켜 흔히 '쌍둥밤'이라고 한다. 생김새가 똑같은 쌍둥이를 떠올려 "얘야, 예로부터 쌍둥밤은 사이좋게 나눠 먹는 거라고 했단다"처럼 쓰는 사람이 많지만 '쌍동밤'이라고 해야 맞다.

'쌍동(雙童)'과 '밤'이 합해진 말인 '쌍동밤'은 그러한 성질이 있거나 그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둥이'가 붙은 '쌍둥이'와는 그 구조가 다르다. '-둥이'가 붙어 이뤄진 말이 아니므로 '쌍둥'으로 적어선 안 된다. "밤송이를 까면/ 밤 하나하나에도/ 다 앉음앉음이 있어/ 쭉정밤 회오리밤 쌍동밤/ 생애의 모습 저마다 또렷하다"(오탁번의 '밤')와 같이 써야 한다. 쌍동아들.쌍동딸.쌍동중매.쌍동바람꽃도 마찬가지 형태다.

간혹 "독일산 밤은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속껍질이 과육 내부로 파고들어 간 쪽밤이 많아 한국에서처럼 삶아서 찻숟가락으로 파먹는 게 힘들다"처럼 쌍동밤을 '쪽밤'으로도 쓰지만 아직은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76
2798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878
2797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90
2796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56
2795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37
2794 전화 받다 / 전화받다 바람의종 2011.11.24 10277
2793 철장신세 바람의종 2011.11.21 10611
2792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172
2791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760
2790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95
2789 거꾸로 / 반대로 바람의종 2011.11.17 11784
2788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45
2787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37
278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49
2785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바람의종 2011.11.15 18798
2784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81
2783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5
2782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28
2781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28
2780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6
2778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9
2777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