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5

푸르름

조회 수 917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름

최고의 권위와 최대의 어휘를 자랑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푸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물론 이는 실수가 아니고 의도적인 배제임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푸르름'은 '푸르르-+-ㅁ'으로 분석되는데, 한국어 형용사에 '푸르르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범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렇게 쉽게 폐기해 버리기엔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이 말은 수많은 문학작품에 쓰여 왔다. 애초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시어로서 쓰이기 시작했을 이 단어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수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의 서정적인 글쓰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미 상당한 언어 세력을 얻은 단어라 할 수 있다.
둘째, 규범형이라고 할 수 있는 '푸름'은 '푸르름'을 대신하기 어렵다.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푸름'은 푸른 빛깔을 모두 가리키지만 '푸르름'은 숲이나 바다 등의 싱그러운 푸른빛만을 가리킨다. '푸르름'에는 특별한 정서적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셋째, 중세 국어에는 '프르다'와 '프를다'가 병존했는데, '푸르름'은 기원적으로 '프를-+-음'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런 가정이 옳다면 '푸르름'이 문법적 일탈을 범했다는 혐의도 벗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13
2798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64
2797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60
2796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58
279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53
2794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45
2793 재료, 원료 바람의종 2010.06.20 11645
2792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42
2791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42
2790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41
2789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637
2788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21
2787 설화, 눈꽃, 상고대, 서리꽃 바람의종 2010.01.27 11620
2786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17
2785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14
2784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08
2783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01
2782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596
2781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93
278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85
2779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84
2778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80
2777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