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0.27 13:46

강냉이, 옥수수

조회 수 984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냉이, 옥수수

어릴 적 시골에서는 설이 다가오면 어김없이 뻥튀기 아저씨가 동네에 나타나곤 했다. 뻥튀기 기계를 돌리는 아저씨 옆에는 옥수수, 쌀, 마른 가래떡 등의 자루가 일렬로 늘어섰고 구경하는 아이들이 주변을 에워쌌다. 간간이 "뻥이요!" 하면서 이어지는 "뻥" 소리에 귀를 막고 즐거워하던 기억이 난다.

이처럼 옥수수.쌀 등으로 튀긴 것을 보통 '뻥튀기'나 '튀밥'이라 부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강냉이'라 일컫기도 한다. 옥수수로 튀긴 것만을 '강냉이'라 부르기도 하고, '쌀 강냉이' '떡 강냉이'처럼 종류와 관계없이 뻥튀기한 것은 모두 '강냉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옥수수'나 '강냉이'는 같은 말이다.

임진왜란(1592)이 일어나자 조선은 명나라에 원군을 요청했고 이여송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가 평양에 도착해 진을 쳤다. 이때 들어온 명나라 군사 중에는 양쯔(揚子)강 이남에서 차출된 사람이 많았는데 이들이 군량으로 가져온 옥수수가 민간에 퍼지면서 우리나라에 전해졌다고 한다. '강냉이'는 이렇게 양쯔강 이남인 강남에서 들어온 것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옥수수'는 수수 알갱이와 비슷하지만 그 모양이 옥처럼 반들반들하고 윤기가 난다고 해 '옥 같은 수수'라는 의미에서 이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1690년에 발행된 '역해유해'에는 '옥슈슈'라는 표기가 나오는데 '슈슈'는 '수수'의 옛말이다. 따라서 같은 물건(식물)을 두고 '강냉이'는 그것이 들어온 지역에서, '옥수수'는 그 생김새에서 유래한 말이다. 둘 다 표준어다.

강냉이와 옥수수가 같은 말이므로 '옥수수 강냉이' '쌀 강냉이' '떡 강냉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옥수수 뻥튀기(튀밥)' '쌀 뻥튀기(튀밥)' '떡 뻥튀기(튀밥)'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66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81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68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67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89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57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61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60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68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14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13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59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76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25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86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81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12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52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8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71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82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831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