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183 추천 수 4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영호와 수희는 단둘이 {살짝궁/살짜꿍} 데이트를 했다.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편찬)에 따르면 위 문장에서 '살짝궁'은 옳고 '살짜꿍'은 그르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뭔가 석연찮은 데가 있다.
'살짝궁'은 '살짝'과 '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살짝'은 부사이고 '-궁'은 접사이다. 문제는 부사 뒤에 접사가 결합했을 때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는가이다. 한글 맞춤법 제25항에 따르면 부사에 접사 '-이'가 붙어 역시 부사가 되는 경우에 원형을 밝혀 적는다고 되어 있다. '곰곰이, 더욱이, 일찍이' 등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이' 이외의 접사와 결합할 때에는 어떠한가? 아쉽게도 맞춤법에 그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다. 그런데 사전에서 부사가 '-이' 이외의 접사와 결합하는 예를 찾아보면 대부분 원형을 밝혀 적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가령, 일찌감치(일찍+-암치), 갸우뚱(갸웃+-둥), 짝짜꿍(짝짝+-궁) 등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있다. 따라서 표기 원칙의 일관성을 위해 '살짝+-궁' 역시 '살짝궁'이 아닌 '살짜꿍'으로 적어야 합리적이다. 참고로 한마디 부언한다면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는 '살짝이 옵서예'가 맞는다. '살짝이'는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누락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53
277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68
2775 면면이, 면면히 바람의종 2011.10.27 10875
2774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4
2773 은폐, 은닉 바람의종 2011.10.25 10768
2772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59
277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5
2770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769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31
2768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99
»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83
2766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79
2765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7004
2764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089
2763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7
2762 맛탕, 마탕 바람의종 2010.11.25 11502
2761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502
2760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72
2759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36
2758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26
2757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920
2756 뜻뜨미지근하다 / 뜨듯미지근하다 바람의종 2010.11.11 22128
2755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바람의종 2010.11.10 14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