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685 추천 수 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옷걸이'가 좋으려면 키가 어느 정도여야 할까?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옷을 가장 잘 소화하는 이상적인 신장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남자 175㎝, 여자 165㎝ 이상은 돼야 태(態)가 난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여기엔 오류가 있다. '옷걸이'는 옷을 걸어 두도록 만든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 "옷걸이가 좋다"고 하면 옷을 거는 기구가 나무랄 데 없어 만족한다는 뜻이 된다. 옷을 입은 맵시를 이르는 말은 '옷거리'로, 어떤 옷을 입어도 잘 어울린다고 할 때는 "옷거리가 좋다"고 해야 맞다.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아 놓고 주름투성이의 양복을 옷걸이에 걸어 두면 수증기로 인해 주름이 펴진다" "길게 뻗은 팔다리와 고운 어깨선을 가진 사람을 보고 흔히 옷거리가 좋다고 말한다"처럼 그 의미를 구분해 써야 한다.

'옷거리'를 달리 '옷맵시'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두 낱말 모두 옷을 입었을 때의 어울림을 뜻하지만 쓰임새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옷거리'가 옷을 입은 사람의 신체 구조나 조건에 주안점을 둔 것이라면 '옷맵시'는 옷을 입었을 때의 전체적인 모양새나 태도에 초점을 맞춘 말이다.

 "다니엘 헤니는 옷거리가 늘씬해 어떤 옷을 걸쳐도 옷맵시가 난다" "하체를 길어 보이게 해 옷맵시를 살려 주는 키높이 구두가 남성들 사이에 인기다"와 같이 둘 다 옷이 잘 어울리는 모양새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미세한 의미 차를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44
33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315
33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45
3302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10
3301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62
3300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207
329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26
3298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457
3297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72
3296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43
3295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26
329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10
3293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48
329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08
329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24
3290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94
3289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941
3288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670
3287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42
3286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7926
3285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99
3284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58
3283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