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15:23

쌀뜬물, 쌀뜨물

조회 수 1368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쌀뜬물, 쌀뜨물

휴가지에서 돌아온 마음은 한결 뽀송뽀송해졌지만 장시간 햇빛에 노출된 피부가 빨갛게 달아올라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가 적지 않다. 이럴 때 진정 효과가 있는 ''쌀뜬물''로 헹구고 오이 등으로 팩을 하면 도움이 된다.

 쌀을 씻고 난 뿌연 물을 ''쌀뜬물''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비누가 없던 옛 여인들이 세안제로 애용했던 쌀뜬물은 그 속에 녹아 있는 전분이 피부를 탄력 있고 뽀얗게 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땀이 많이 흐르는 여름철, 땀띠가 났을 때 쌀뜬물을 우유팩에 넣어 두었다가 거즈에 적셔 환부에 발라 주면 도움이 된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쌀뜨물''이라고 해야 맞다.

 우리말엔 동사 어간과 명사가 직접 결합한 ''쌀+뜨+물''과 같은 형태의 합성어가 흔하지 않다. 동사 어간에 관형형 어미 ''-ㄴ''이 결합하고 다시 명사가 붙어 만들어진 건넌방.눌은밥.주근깨 등과 같은 합성어가 훨씬 많다. 이런 유형에 익숙하다 보니 ''쌀뜨물''을 ''쌀뜬물''로 잘못 쓰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생선 비린내가 나는 그릇에 쌀뜨물을 붓고 이틀 정도 두면 냄새가 싹 가신다"처럼 사용해야 한다. 쌀뜨물을 미감(米 ).미감수(米 水).미즙(米汁).백수(白水)라고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45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31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76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541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488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45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62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64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219
3120 바람의종 2007.09.22 9085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24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92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642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335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790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380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602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12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341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813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56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331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