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뜬물, 쌀뜨물

by 바람의종 posted Jul 2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쌀뜬물, 쌀뜨물

휴가지에서 돌아온 마음은 한결 뽀송뽀송해졌지만 장시간 햇빛에 노출된 피부가 빨갛게 달아올라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가 적지 않다. 이럴 때 진정 효과가 있는 ''쌀뜬물''로 헹구고 오이 등으로 팩을 하면 도움이 된다.

 쌀을 씻고 난 뿌연 물을 ''쌀뜬물''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비누가 없던 옛 여인들이 세안제로 애용했던 쌀뜬물은 그 속에 녹아 있는 전분이 피부를 탄력 있고 뽀얗게 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땀이 많이 흐르는 여름철, 땀띠가 났을 때 쌀뜬물을 우유팩에 넣어 두었다가 거즈에 적셔 환부에 발라 주면 도움이 된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쌀뜨물''이라고 해야 맞다.

 우리말엔 동사 어간과 명사가 직접 결합한 ''쌀+뜨+물''과 같은 형태의 합성어가 흔하지 않다. 동사 어간에 관형형 어미 ''-ㄴ''이 결합하고 다시 명사가 붙어 만들어진 건넌방.눌은밥.주근깨 등과 같은 합성어가 훨씬 많다. 이런 유형에 익숙하다 보니 ''쌀뜨물''을 ''쌀뜬물''로 잘못 쓰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생선 비린내가 나는 그릇에 쌀뜨물을 붓고 이틀 정도 두면 냄새가 싹 가신다"처럼 사용해야 한다. 쌀뜨물을 미감(米 ).미감수(米 水).미즙(米汁).백수(白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