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6 18:05

한자의 두음, 활음조

조회 수 1231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자의 두음, 활음조

'一笑一少'란 말이 있다. '한 번 웃으면 한 번 젊어진다'는 뜻이다. 웃음이 우리 건강에 매우 좋다는 것이니 팍팍한 세상 웃으며 살자는 얘기다. 이것과 정반대되는 문장이 바로 '一怒一老'다. '한 번 성내면 한 번 늙는다'는 말이다.

'一笑一少'는 '일소일소'로 읽고 그렇게 표기하면 된다. 그러나 '一怒一老'의 독음(讀音)을 적은 것을 보면 '일노일노' '일로일로' '일노일로' 등 제각각이다. 어떻게 쓰는 것이 바를까.

'怒'는 '성낼 노'다. 이 글자는 본래 음이 '노'이므로 '노'로 읽고 '노'로 적는다. 격노(激怒), 공노(共怒), 분노(憤怒), 진노(震怒) 등이 그런 예다. '老'는 '늙을 로'다. 노인(老人)의 '노'는 단어의 첫머리이기 때문에 두음법칙에 따라 '노'로 쓴다.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 본음대로 적으면 된다. 경로(敬老), 양로(養老), 조로(早老), 해로(偕老) 등이 그런 예다.

따라서 '一怒一老'는 '일노일로'로 적어야 맞다. 본래의 소리대로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喜怒哀樂'은 왜 '희로애락'으로 읽고 쓰는가. 본음이 '희노'인데도 '희로'라고 하는 것은 활음조 현상 때문이다. 활음조란 듣기에 좋은 발음의 특질을 말한다. '대로(大怒)'도 이와 같은 경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07
33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08
33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73
3302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257
3301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102
3300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42
329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68
3298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55
3297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32
3296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33
3295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90
329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86
3293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07
329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48
329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315
3290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79
3289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1031
3288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823
3287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37
3286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24
3285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62
3284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7015
3283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